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주소: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 711-2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전문 분야: 문화 유산 보존, 관광 명소.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어린이에게 적합함.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90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4/5.

📌 의 위치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 711-2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소개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위치한 역사적인 문화유산입니다. 이 탑은 국보 제7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탑리리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 중 하나입니다.

탑리리 오층석탑은 총 5층의 옹진 도서 지역에서 발견된 것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석탑으로, 고려시대의 문화유산으로 손꼽히며 많은 관광객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탑리리 오층석탑 특징

  • 국보 제77호로 지정
  • 고려시대의 문화유산
  • 탑리리의 대표 관광 명소

탑은 깨끗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나무그늘이 있어 쉬었다 가기에 좋습니다. 보수공사 후 예전 재료들을 옆에 보존처리해 놓아 만져볼 수 있습니다. 천년전 누군가가 만져보던 탑을 직접 느낄 수 있는 문화유산입니다.

주변 환경이 잘 다듬어져 있어 주변 분위기도 한적하지만 평화로운 느낌을 줍니다. 가을 날씨를 즐기고 있는 어르신들이 주변에 많아 가족단위 관광객들에게 좋은 선택지입니다.

탑리리 오층석탑 접근성

  •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 휠체어 이용 가능 주차장
  • 어린이에게 적합한 환경

탑리역에서 약 15분 정도 걸어가야 하는 пунк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탑리리 오층석탑 후기 및 평점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은 Google My Business에서 90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 평점은 4.4/5입니다. 많은 관광객들이 이 탑의 역사와 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 20년만에 다시 들린 사람들이 정비가 더 되어 있고 너무 좋았다고 전합니다. 어린 친구들 데리고 놀러 와도 될 것 같다는 긍정적인 반응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 의 리뷰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정jinseok
5/5

국보 77호 (이제는 번호 없이 명칭으로만)
탑리역에서 15분 정도 걸어가야 함
깨끗하게 정리되어 있고 나무그늘이 있어서 쉬었다 가기 좋음
보수공수 후 예전 재료들을 옆에 보존처리 해서 만져 볼 수 있음
천년전 누군가가 만져보던 탑을 직접 느껴 볼수 있다는...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tim T.
5/5

사실 동네 안에 탑만 덜렁 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주변이 잘 다듬어져 있어서 좋았음
동네 분위기도 한적하지만 평화로운 느낌.
앉아서 가을 날씨를 즐기고있는 어르신들이 주변에 많았음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Sang H. D.
5/5

탑리의 5층 석탑 끝내주죠.

근 20년만에 다시 들렸습니다.
그때보다 정비가 더 되어 있고 너무 좋았습니다.

어린 친구들 데리고 놀러 와도 될것 같습니다.

인근 문화 유적, 자연 유산 등 가족 여행에 좋은 것 같습니다.

우리 애들 의성 데리고 와 본 기억이 없는데 애들 데리고 꼭 다시 다녀갈 예정입니다.

아주 좋습니다.

오늘 보니 인근에 너무 좋은게 많네요.

15에서 20년전에 인근에 많이 다녀본 지역인데...
예전과 너무 달라졌네요.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고니
5/5

의성탑리여자중학교 바로 옆에 있으면 주차장에 주차 후 조용히 둘러볼 수 있어서 좋음.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김영민 (.
5/5

국보 제77호
통일신라시대 5층석탑
전탑의 수법을 모방하는 한편 일부에서는 목조건물의 양식을 보이고 있다.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여유로운 ?.
3/5

신라의 전통적인 3층 석탑이 아닌 5층 석탑. 고색창연하고 역사가 깃든 곳. 그러나 국보로서 관리가 미흡해서 안타까웠어요!!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Samuel O.
4/5

통일신라 시대의 5층석탑입니다. 특징적인 점은 각 층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대칭을 이루는듯한 모습니다.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의성군, 경상북도
CHA C. R.
5/5

탑리리 마을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5층 석탑이다. 낮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전탑(塼塔)양식과 목조건축의 수법을 동시에 보여주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단은 여러 개의 돌로 바닥을 깐 뒤, 목조건축을 본떠 가운데기둥과 모서리기둥 모두를 각각 다른 돌로 구성하였다. 탑신은 1층이 높으며 2층부터는 높이가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는데, 1층 몸돌에는 불상을 모시는 방인 감실(龕室)을 설치하였다. 지붕돌은 전탑에서 보이는 모습처럼 밑면 뿐만 아니라 윗면까지도 층을 이루고 있는데 윗면이 6단, 아랫면이 5단이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들려있어 목조건축의 지붕 끝을 떠올리게 한다.

각 부분에서 목조건축의 양식을 응용하는 한편, 곳곳에서 전탑의 조성기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러한 독특한 특징으로 인해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과 함께 통일신라 전기의 석탑양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This five-story stone pagoda located in Tamni-ri, Uiseong was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76-935). It is characterized by a low, single-tier base supporting the main five-storied structure exhibiting a unique style achieved by combining the styles of brick pagodas and wooden architectural works. The base consists of a foundation of hewn rectangular stones on which, imitating a wooden architectural structure, middle and corner columns made from separate stone blocks are erected. As for the pagoda’s main body, the first story is significantly taller than the other stories, and it has a niche where one or more Buddha statues were enshrined. From the second story up, the bodies of the pagoda grow notably shorter. The roof of each story is stepped on by both under and upper sides as in brick pagodas. The cornice under the eaves is five-stepped, whereas the upper part is six-stepped. The roof stones are slightly upturned at the corners, patterned after the tile roof of a wooden building. Along with the Stone Brick Pagoda of Bunhwangsa Temple, Gyeongju (National Treasure No. 30), this pagoda is of great importance in studying the development of pagodas in Korea with its unique form and style.

是建造在塔里村庄的统一新罗时代的5层石塔。在低矮的1层基坛上竖立了5层塔身,其独特结构同时显示了用修整成砖样的石头来垒砌而成的砖塔样式和木造建筑技法。这个作品各部分应用了木造建筑的样式,同时处处体现了砖塔的砌筑技法。由于这种独特的特点,与芬皇寺石塔(国宝第30号)一并成为了研究统一新罗时代前期石塔样式的珍贵资料。

塔里村に建てられている統一新羅時代の五重石塔である。低い一段の基壇の上に五重の塔身を建てた形態で、石を煙瓦模様に削って積み上げた塼塔様式と、木造建築の手法が同時に見られる珍しい構造である。各部分で木造建築の様式を応用する一方、至る所で塼塔の造成技法が見られる作品である。このような独特な特徴から、芬皇寺石塔(国宝第30号)とともに統一新羅前期の石塔様式を研究するのに貴重な資料となっている。

Go up